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가세 계산기 바로가기 및 계산방법 알아보기 !

by 두찌푸우 2025. 4. 9.
반응형

 

 

부가세 계산기 바로가기 및 계산방법에 대한 안내입니다. 부가세 계산기 바로가기는 본문 하단에 링크를 남겨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부가세 계산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아주 간단하게 부가세를 계산할 수 있는 방법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핸드폰 계산기만 있으면 됩니다.

 

부가세 계산기 바로가기 및 계산방법

 

오늘은 전문적인 세무지식을 전해드리기보다는 일상생활에서 부가세를 계산할 때 어떻게 하면 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부가세는 아래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부가세는 10%인 것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부가세(10%) + 공급가액(90%) = 공급대가(100%)

 

일상생활에서 부가세를 알고 싶은 상황은 2가지의 상황이 있습니다.

1. 합계금액을 알 경우

마트 등에서 물건을 구입할 때 공급대가를 계산하게 되는데, 영수증을 보면 공급가액과 부가세가 구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자동으로 계산해서 나오는 영수증을 확인하면 되는데, 우리가 계산을 해보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2. 공급가액만 알 경우

공구상가 등의 소매점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카드로 계산을 하면 부가세를 추가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건값에 부가세를 포함하지 않고 말씀하셨다가, 카드로 계산하면 부가세를 내야 하기 때문에 그렇다는 건데, 그럼 이럴 때는 어떻게 부가세를 계산하면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부가세 계산기 바로가기 및 예시

 

위의 내용을 부가세 계산기를 통해서 계산해 봤습니다. 부가세 계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이트를 접속해도 되지만, 핸드폰 계산기 등을 통해서 바로 계산해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부가세 계산기 바로가기는 본문 하단에 링크를 남겨놓도록 하겠습니다.

 

부가세 계산기를 통해서 부가세를 계산한 결과입니다.

 

 

부가세계산기

부가세 계산을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부가세계산방법 소개

vat.uassetstore.com

 

 
1.1. 합계금액을 알 경우 - 공급대가 1만원 속에 부가세는 얼마인가?

 

10,000원짜리 물건을 구입한다면 10,000원 중에 부가세는 얼마일까요?

■ 물건값(공급대가) ÷ [110%] 또는 [1.1] = 공급가액
  → 1만원 ÷ 110% = 9090.9원

                  ↓↓↓↓

공급가액 [9090.9] + 부가세 [909.1] = 공급대가 [1만원]

                  ↑↑↑↑

■ 물건값(공급대가) ÷ [1100%] 또는 [11] = 부가세
  → 1만원 ÷ 11 = 909.1원

 

마트에서 물건을 구매하고 영수증을 받아보면 이런 식으로 물건값 1만 원에 대해서 공급가액과 부가세로 구분해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물건값에 나누기 [÷ 11]을 하면 간단하게 부가세가 얼마나 붙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생활에서 사용할 일은 없는데 그냥 궁금할 수 있습니다.

 

 

2.2. 공급가액만 알 경우 - 공급가액 1만원의 물건에 부가세를 원할 때?

 

공급가액 1만원인 물건을 구매하려고 하는데, 부가세를 원하는 경우에는 어떤 식으로 계산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물건값(공급가액) X [110%] 또는 [1.1] = 공급대가
  → 1만원 X 110%  = 11,000원

■ 물건값(공급가액) X [10%] 또는 [0.1] = 부가세
  → 1만원 X 10%  = 1,000원

 

부가세가 포함되지 않은 물건값에 부가세를 추가로 요구하는 경우에는 물건값에 곱하기 [X 1.1]을 하면 계산해야 하는 물건값 11,000원이 나오며, 물건값에 곱하기 [X 0.1]을 하면 추가로 내야 하는 부가세인 1,000원이 나오게 됩니다.

 

 

부가세계산기

부가세 계산을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부가세계산방법 소개

vat.uassetstore.com

 

 

 

반응형